본문 바로가기
Lua

Lua(루아) 튜토리얼 시작1(기초 - 변수, 연산자)

by 정보싹쓰리 2022. 2. 24.
반응형

기본적으로 루아를 테스트할 환경부터 만들어야

테스트 및 작업이 가능하겠죠?

 

웹으로 바로 테스트 가능하다면 환경세팅하는데

가장 현실적이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https://www.tutorialspoint.com/execute_lua_online.php 

 

이 주소로 들어간다면 아래와 같이

웹에서 코딩 및 출력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좌측 위에 Execute를 누르면 실행해볼 수 있게 됩니다.

 

테스트해볼 환경은 끝났으니,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보겠습니다.


변수

루아에서는 변수를 미리 선언하지 않고 사용 가능합니다.

따라서 값이 들어오는 순간에 유형(Type)이 결정됩니다.

 

선언되지 않았거나 아무 값도 없는 변수 nil
모든 숫자는 number

모든 문자는 string
참/거짓은 boolean
모든 여러개 집합은 table

type으로 변수명을 출력해보면,

해당 변수의 number, string, boolean, table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아래서 나오겠지만,

table 변수에서 출력한 #의 경우 배열 테이블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연산자

연산자는 크게 3가지가 있죠.

수식, 관계, 논리 연산자입니다.

 

수식 연산자는 + - * / % * ^ 가 있습니다.

각각 살펴보면,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승(^) 이 있으며 수식을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관계 연산자는 == ~= > < >= <= 가 있습니다.

각각 살펴보면, 같다(==), 다르다(~=), 왼쪽이 크다(>), 오른쪽이 크다(<), 왼쪽이 크거나 같다(>=), 오른쪽이 크거나 같다(<=) 로 되어 있으며 결과 값은 항상 boolean으로 나타납니다.

 

논리 연산자는 and or not 이 있습니다.

각각 살펴보면, 둘다 참이어야 하는 그리고(and), 둘중 하나는 참의 또는(or), 참이면 거짓, 거짓이면 참의 논리반대(not) 로 결과 값은 항상 boolean으로 나타납니다.

 

기타

특수한 키워드가 있는데요. #과 ..입니다.

#은 위에서 쓴 바와 같이 배열 혹은 테이블의 개수입니다.

..은 두 문자를 붙여줍니다.

 

반응형

댓글